백색 석유 리튬 포스코 ‘강자’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수정 2017-02-08 00:55
입력 2017-02-07 22:42

독자 기술로 국내 첫 상업생산… 노트북 배터리 7000만개 물량

포스코가 광양제철소에서 리튬을 생산한다. 독자 기술 개발 7년 만에 국내 최초로 리튬 상업 생산이란 쾌거를 거뒀다.
이미지 확대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7일 전남 광양제철소 내 리튬생산 공장에서 열린 준공식에서 국내 최초로 초도 생산된 탄산리튬 최종제품을 손에 들어 보이고 있다. 포스코 제공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7일 전남 광양제철소 내 리튬생산 공장에서 열린 준공식에서 국내 최초로 초도 생산된 탄산리튬 최종제품을 손에 들어 보이고 있다.
포스코 제공
그동안 전량 수입 리튬에 의존하던 국내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원료 수급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배터리용 양극재 제작업체인 포스코ESM, 배터리 제작업체인 LG화학과 삼성SDI 등이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리튬생산(PosLX) 공장에서는 연간 2500t의 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 노트북용 배터리 약 7000만개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연간 250억원 이상 매출과 지역 주민 60여명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지난해 전체 리튬 수입량(2만 5309t)의 9.9%, 이 중 탄산리튬 수입량(2만 140t)의 12.4%에 달하는 생산 능력이다.

7일 리튬생산 공장에서 열린 준공식에서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배터리용 리튬에 더해 양극재용 고순도 니켈, 양음극재 개발 등 에너지소재 사업에서 미래 신성장동력을 찾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난 3년 동안 ‘철가 본원 경쟁력 강화’란 성과를 낸 권 회장은 지난달 연임에 성공한 직후 약속했던 ‘비철강 부문 육성’에 본격 시동을 걸게 됐다. 권 회장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원장으로 재직하던 2010년 리튬 추출 기술 독자 개발을 진두지휘한 데 이어 7년 만에 상업 생산에 성공했다. 포스코가 7년 전 개발한 화학반응을 통한 리튬 추출 방식을 적용하면 기존의 자연증발식 추출에서 12~18개월 걸리던 리튬 추출 기간이 최단 8시간에서 1개월로 단축된다. 자연증발식에서 30~40%에 그치던 리튬 회수율도 포스코의 기술을 적용하면 80% 이상으로 개선된다. 포스코는 리튬 추출 관련 100여개 특허를 보유 중이다.

이날 준공한 공장에선 원료인 인산리튬을 폐이차전지 재활용업체로부터 공급받는다. 포스코 관계자는 “환경 이슈인 폐이차전지 재활용 분야에서도 한발 앞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면서 “지난달 폐이차전지에서 추출한 인산리튬으로 생산한 탄산리튬을 시험 평가한 결과 입도, 순도, 충·방전 효율과 용량 등 품질 기준에서 기존 제품과 동등한 수준을 확인했다”고 소개했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같은 정보기술(IT) 기기를 비롯해 전기차, 전력저장용설비(ESS)까지 리튬이온 배터리를 쓰는 제품은 급증하고 있다. SNE리서치는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이 2015년 212억 달러에서 2020년 63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다고 내다봤다. 전 세계 배터리용 탄산리튬 수요도 2015년 6만 6000t에서 2025년 18만t 이상으로 커질 전망이다. 포스코는 전 세계 천연리튬의 80%가 매장된 남미의 소금호수(염호)를 확보하는 등 향후 국내외 연간 리튬 4만t 생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7-02-0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