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당 불가’ 원칙 깬 새누리… 무소속 영입 딜레마

이영준 기자
수정 2016-04-15 01:05
입력 2016-04-14 23:18
유승민 복당 의지… 안상수는 신청
지도부 사과 요구… 시간 끌 수도
새누리당이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1석 모자란 122석을 확보하는 데 그치면서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원내 1당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선 어떻게든 몸집을 불려야 하기 때문이다. 공천 과정에서 낙천의 칼날을 휘둘렀던 지도부는 이제 무소속 당선자에게 복당을 사정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 한 달도 안 돼 갑을 관계가 뒤바뀐 셈이다.

대구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대구 동을에서 75.7%의 득표율로 당선된 유승민 의원은 이날 대구 불로시장 당선 인사에서 “오늘 당장 복당하는 건 당이 힘들어진 상황에서 도리가 아닌 것 같아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당선 직후에도 “당을 떠났지만 한 번도 새누리당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며 복당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인천 중·동·강화·옹진의 안상수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유를 갖고 진로를 생각하려 했으나 현재 상황이 엄중하고 새누리당이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에 바로 복당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힌 뒤 복당 신청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뜻과는 달리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이 순조롭지 않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 무소속 당선자들이 공천 탈락에 대한 지도부의 사과를 요구하며 시간을 끌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복당 문제에 있어 주도권을 쥐고 몸값을 높이기 위한 차원으로도 해석된다. 실제로 일부 무소속 당선자들은 이날 복당에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윤상현(인천 남을), 주호영(대구 수성을), 강길부(울산 울주) 의원과 장제원(부산 사상) 전 의원 등은 “당에서 공식 복당 제안이 와야 그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 지도부의 고민은 여전히 깊다. 복당을 수용할 경우 ‘복당불가론’ 원칙을 어기게 될 뿐 아니라 당 공천이 잘못됐다는 것을 자인하는 셈이어서 여전히 ‘딜레마’가 되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6-04-1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