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무성 위상 강화된 北… ‘슈퍼 매파’ 볼턴 빠진 美… 김여정·이방카 첫 대면
이주원 기자
수정 2019-07-01 03:06
입력 2019-06-30 23:28
북미 수행원 면면 살펴보니
위원장의 ‘집사’로 불리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김 위원장의 동선을 확인하는 등 분주하게 준비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장 겸 노동당 부부장도 김 위원장의 의전을 책임지는 모습도 보였다. 최측근으로 알려진 조용원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도 자리했다. 또 대미 메시지를 관리하고 있는 리수용 노동당 국제담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모습도 판문점 자유의집에서 포착됐다.
하노이 회담 결렬 후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 협상 라인이 통전부에서 외무성으로 넘어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도 정상의 만남을 멀리서 바라보는 모습이 보였다. 그동안 해 오던 ‘비서실장’ 역할을 현 부부장이 이어받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노이 회담 당시 김 위원장의 통역을 맡았던 신혜영 대신 다른 통역사가 김 위원장의 통역을 맡는 모습도 보였다.
미국에서는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회담장에 모습을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의 딸인 이방카 보좌관도 등장해 김 부부장과의 첫 ‘퍼스트 패밀리’ 만남도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모습은 보이지 않아 북한의 불편한 시각을 미국 측이 고려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9-07-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