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공관 앞 소녀상, 바람직하지 않다”

허백윤 기자
수정 2017-01-14 00:53
입력 2017-01-13 22:36
“국제 관행에 맞지 않다는 뜻…장소 문제는 지혜 모아볼 필요”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앞서 국회에 제출한 보고자료에서도 “외교 공관 보호와 관련된 국제 예양 및 관행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가능한 노력을 하겠다”며 일본 측에 한 발짝 다가선 입장을 밝혔다. 윤 장관은 “정부가 소녀상 설치를 반대하는 게 아니다”라면서도 “장소 문제에 대해서는 지혜를 모아볼 필요가 있다”며 소녀상 이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윤 장관은 2015년 12월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의 후속 조치에 대해 “국민들이 기대하는 것에 비해 일본의 반응이 미치지 못했고, 지속적으로 사죄와 반성이 이뤄지는 게 상대적으로 미흡한 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완벽한 합의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과거에 받아내지 못한 것을 역사적 기록으로 분명히 한 것은 성과가 맞다”고 주장했다.
윤 장관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보복 움직임에 대해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지만 극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경솔하게 대응 조치를 취하는 건 아직 이르고 상황을 지켜보면서 필요한 협의를 하겠다”고 말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7-01-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