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앞바다 세슘 초과 검출
우럭에서 농어까지…소비자 공포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 연합회는 지난 7일 이와키시 앞바다에서 어획한 농어를 분석한 결과, 방사성 물질인 세슘 함유량이 1㎏당 85.5베크렐(㏃)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어획 점은 이와키시에서 8.8㎞ 떨어진 곳으로, 수심은 75m였다.
후쿠시마현 어협은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자전 사고 이후 1㎏당 세슘 50베크렐을 상품 출하 기준치로 정했기 때문에 이날 잡은 농어를 전부 회수하고, 당분간 농어 판매를 자제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월 잡힌 우럭에서는 무려 기준치의 14배가 넘는 세슘이 검출됐고, 민물고기 곤들매기와 민물송어에서도 기준치를 넘는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다핵종 제거설비(ALPS)로 정화 처리해 올 봄이나 여름쯤 방류를 시작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ALPS로 정화 처리하면 세슘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 62종 등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이 걸러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삼중수소(트리튬)는 걸러지지 않는다. 미량이기는 하지만 탄소14 등의 핵종도 ALPS로 처리한 물에 남는다. 일본 정부는 ALPS로 없앨 수 없는 삼중수소는 원전 앞 바닷물과 희석해 농도를 자국 규제 기준의 40분의 1인 ℓ당 1천500베크렐(㏃) 미만으로 만들어 원전 1㎞ 앞바다에 내보내기로 했다.
“수백년 동안 피해 지속될 것”
숀 버니 그린피스 동아시아 수석 원자력 전문가는 글로벌타임스와 인터뷰를 통해 “과도한 방사성 물질을 가진 물고기가 반복적으로 잡히는 것은 걱정스러운 상황”이라며 “일본 정부의 이번 결정은 지난 10년간 원전 사고로 어려웠던 후쿠시마 어부들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상치 전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연구원은 “일본 정부가 오염수를 7배 희석해 해양 방류한다는 말은 거짓”이라며 “희석한다고 해서 총배출량이 달라지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먹이사슬 하위 단계 해양 생물이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면, 먹이사슬 상단에 있는 생물에 축적된 방사성 물질 농도는 오염수보다 수만 배 높을 수 있다며 ‘생물 농축’의 위험을 지적했다.
상치 전 연구원은 “개별 어류에 대한 제한 조치가 나머지 해양 생물이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해양 생물과 인간이 받는 피해는 수백 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유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