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개혁·개방 이끌고 ‘세계 2위 대국’ 열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영 기자
수정 2022-12-01 00:02
입력 2022-11-30 22:26

장쩌민 前주석 96세로 타계

톈안먼 사태 뒤 덩샤오핑 후계자
15년 집권 ‘시장경제’ 토대 세워
한중 수교 후 中정상 첫 방한도

이미지 확대
중국의 고립을 벗고 경제개혁으로 10년간의 고도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은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타계했다. 사진은 장 전 주석이 2002년 텍사스 A&M대 조지 부시 대통령 도서관에서 연설하는 모습.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의 고립을 벗고 경제개혁으로 10년간의 고도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은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타계했다. 사진은 장 전 주석이 2002년 텍사스 A&M대 조지 부시 대통령 도서관에서 연설하는 모습.
칼리지스테이션(텍사스주) 로이터 연합뉴스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타계했다. 96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국무원 공동 발표에 따르면 장 전 주석은 이날 낮 12시 13분(현지시간) 상하이에서 백혈병 등으로 치료받다 숨을 거뒀다. 중국 3대 최고지도자인 그는 ‘개혁·개방 총설계자’ 덩샤오핑(1904∼1997)의 뒤를 이어 집권해 붕괴 직전 상태였던 중국을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도약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장 전 주석은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로 실각한 자오쯔양(1919∼2005) 전 당 총서기의 뒤를 이어 15년간 집권했다. 중국의 당(黨)·정(政)·군(軍)을 모두 장악한 첫 최고지도자로 2003년까지 재임했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노선의 충실한 ‘이행자’이자 공산당이 자본가 계급을 끌어안아야 한다는 ‘3개 대표론’의 창시자로 중국 시장경제 발전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의 임기 중 베이징하계올림픽 유치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홍콩·마카오 반환 등이 이뤄졌다. 한국과도 인연이 깊어 1995년 중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 김영삼 대통령을 만났다.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이 베이징을 방문하자 두 정상은 한중 외교 관계를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켰다.

우리 정부는 “1992년 한중수교 등 한중관계 발전을 위해 공헌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면서 “고인의 영면을 기원하며 유가족에게도 애도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조전 발송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서울 이재연 기자
2022-12-0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