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2건 보물로 지정
수정 2014-09-23 10:27
입력 2014-09-23 00:00

문화재청 제공
청룡사 관음보살상은 1655년 조능(祖能)이라는 조각승이 완주 봉서사 향로전에 봉안하고자 만든 불상이다. 정확한 제작 시기와 조각자, 봉안장소 등을 알 수 있고 왕실의 안녕과 중생의 성불을 염원하는 발원문(發願文)이 남아 있어 17세기 중엽 불상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라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크기는 작은 축에 속하지만 조선 후기의 평범하면서 담백한 대중적 아름다움이 잘 표현돼 발원문과 함께 보물로 지정됐다.
다보사 여래삼존상과 십육나한좌상은 여러 존상(尊像)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1625년이라는 정확한 제작 시기와 목적, 제작자 등 불상 조성에 관한 기록이 구체적으로 남아 이 시기 불교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17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수연(守然)과 그의 일파가 제작한 불상으로, 16나한(羅漢)의 신통력과 특징을 생동감 있게 연출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