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92.3% “물가 인상으로 사실상 임금 줄었다”

최영권 기자
수정 2023-01-08 16:16
입력 2023-01-08 13:37

직장갑질119 제공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7일부터 14일까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92.3%가 물가 인상으로 인해 사실상 임금이 줄어들었다고 했다.
응답자 96.2%는 2023년 새해 ‘임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새해 소망으로는 ‘임금(연봉) 인상’이 78.0%(중복응답 가능)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노동시간 단축·휴가확대’(22.4%), ‘성공적인 일과 가정의 양립’(20.1%), ‘좋은 회사 이직’(18.5%), 정규직 전환·고용안정(15.4%) 순이었다.
전 연령대에서 임금 인상이 1위를 차지했지만 2위는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40대(27.6%)와 50대(22.9%)는 새해 소망 2순위로 ‘성공적인 일과 가정의 양립’을 선택했다. 반면 20대는 25.6%가 ‘좋은 회사 이직’을 꼽았다.
대체로 약자로 분류되는 여성(51.2%), 비정규직(52.5%), 5인 미만 사업장(55.6%) 노동자는 절반 이상이 직장 내 괴롭힘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남성(37.4%), 정규직(37.2%), 300인 이상 기업(33.8%) 노동자에 비해 비관적 전망이 더 높은 걸 알 수 있다.
‘윤석열 정부가 직장인을 위한 노동·일자리 정책을 잘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 비율은 78.1%로 ‘그렇다’(21.9%)보다 4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84.7%),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80.9%), 월 150만원 미만 노동자(84.7%) 상당수가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직장갑질119 김유경 노무사는 “여성, 저임금노동자, 영세사업장 노동자 등 소외당하는 약자들이 정부 정책에 더 비판적이었다”며 “직장인이 원하는 임금 인상과 노동시간 단축과는 정반대로 장시간 노동을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는 지금이라도 정책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영권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