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떨어져가는 물
김태이 기자
수정 2022-07-28 11:13
입력 2022-07-28 11:13
/
5
-
떨어져가는 물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서 한 주민이 남은 물을 보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노화·보길·넙도 세 개 섬에서는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2022.7.28 연합뉴스 -
말라버린 수원지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보길도에 있는 수원지 ‘부황제’가 말라 바닥을 보이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노화·보길·넙도 세 개 섬에서는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2022.7.28 연합뉴스 -
‘물이 사라졌다’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보길도에 있는 수원지 ‘부황제’가 말라 바닥을 보이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노화·보길·넙도 세 개 섬에서는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2022.7.28 연합뉴스 -
쌓여가는 빨랫감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서 한 주민이 쌓인 빨랫감을 정리하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노화·보길·넙도 세 개 섬에서는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2022.7.28 연합뉴스 -
나오지 않는 물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서 한 주민이 화분에 물을 주려고 하지만 단수로 인해 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노화·보길·넙도 세 개 섬에서는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2022.7.28 연합뉴스
27일 오전 전남 완도군 노화도에서 한 주민이 남은 물을 보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지난 3월 10일부터 노화도·보길도·넙도 등 총 3개 섬에 제한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노화도와 보길도는 4일 단수 후 2일 공급, 넙도는 5일간 단수하고 2일간 공급하는 체계다.
부황제 저수율이 점점 낮아져 10%에 그치자 완도군은 오는 8월 1일부터 노화도와 보길도 단수 기간을 8일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560명이 사는 넙도의 식수원 저수율은 1.6%로, 사실상 생활용수가 말라버려 급수차에 물 공급을 의지하고 있다.
올해 완도의 강수량은 375.1㎜로 평년 대비 41%에 그쳤다.
지난 17일부터 전남에 최대 100mm 이상의 비가 내리긴 했지만, 섬 지역 특성상 저수지 유역이 작은데다가 겨울부터 가뭄이 계속된 탓에 해갈에는 역부족이었다.
완도군 관계자는 “농업용수 저수지도 저수율이 20% 미만이라 가뭄이 지속하면 벼농사에도 피해가 갈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현재 공사 중인 지하수 저류댐이 올해 말 준공돼야 해소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