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채용 늘고 근로시간은 감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찬구 기자
수정 2022-05-30 15:00
입력 2022-05-30 14:52

고용노동부, 4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
숙박, 음식, 사회복지서비스업 회복세 이어져
코로나19 속 마이너스 기록하다 증가세로
전체 사업체 종사자는 14개월 연속 증가세
임시일용직은 임금 상승 낮아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인력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거리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스1
서울의 한 인력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거리를 구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스1
코로나19 감소세가 이어진 지난 4월 대면업종인 숙박·음식점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의 회복세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음식점업 종사자는 지난해 4월 2만여명(2.1%) 감소했다가 올해 3월과 4월에는 각각 5만여명씩 증가했다. 증가율은 5.3~5.4% 수준이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4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으로 숙박·음식점업 종사자는 모두 113만 6000명으로 지난해 4월 107만여명에 비해 5.4% 증가했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197만명에서 209만명으로 늘어 6.1%의 증가세를 보였다. 숙박·음식점업 종사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2월 이후 2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전체 사업체 종사자는 지난 2021년 3월부터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3월부터 12개월 동안 감소세를 보인 이후 줄곧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는 1919만명으로 전년 4월의 1869만여명에 비해 49만여명(2.6%) 늘었다.

전년에 비해 종사자가 많이 증가한 3개 업종으로 고용노동부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을 꼽았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은 11만 9000명(6.1%),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6만 7000명(5.9%), 숙박·음식점업은 5만 8000명(5.4%) 증가했다. 반면 금융·보험업과 운수·창고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등은 종사자 수가 전년보다 1000~5000명 정도 줄었다.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지난 3월 기준 383만 7000원으로 전년 동월대비 6.4%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6.7%, 임시·일용근로자는 3.0% 증가했다. 정향숙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용근로자의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4.1%, 초과급여는 8.0% 증가했고 특별급여는 25.5% 증가해 3월 기준으로 최고의 상승률을 나타냈다”면서 “반면 임시·일용직의 경우에는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숙박·음식점업, 사업시설 쪽의 근로자 증가 등이 임금 상승을 낮추는 데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