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뤄보자 전주비빔밥”…안동비빔밥 원형 복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2-17 16:18
입력 2014-12-17 14:37
이미지 확대
고증 통해 복원된 ’안동비빔밥’
고증 통해 복원된 ’안동비빔밥’ 해방 전까지 전국적으로 명성을 떨치다가 전주비빔밥 등에 밀려 명맥이 끊어지다시피한 안동비빔밥이 고증을 통해 재탄생했다.
안동종가음식산업화사업단
전주비빔밥 등에 밀려 명맥이 끊어지다시피한 안동비빔밥이 고증을 통해 재탄생했다.

안동종가음식산업화사업단은 안동시농업기술센터 우리음식연구회와 손을 잡고 안동비빔밥의 원형을 복원했다고 17일 밝혔다.

안동비빔밥은 날계란 노른자 또는 육회를 고명으로 쓰는 전주나 진주의 비빔밥과는 달리 ‘장똑똑이’라는 육장을 쓰고 깨소금만 뿌리고 비비기 때문에 맛이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또 고사리와 도라지, 가지나물, 토란대, 배추숙주나물 등의 나물을 삶은 다음 참기름으로 볶지 않고 그대로 무쳐 내 기름기가 적은 것도 특징이다.

안동비빔밥은 해방 전까지만 해도 그 명성이 전주비빔밥을 능가할 정도로 국내에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전주비빔밥에 밀려나 사실상 명맥이 끊어진 상태였다.

사업단은 지역 요리 전문가 등을 상대로 오랜 고증의 과정을 거쳐 안동비빔밥을 복원했다.

오상일(67) 안동종가음식산업화사업단장은 “안동비빔밥은 잔칫집 음식이나 명절 음식으로 과거에 급제한 기쁜 날 또는 손님이 집에 찾아 왔을 때 접빈객용으로 만들어 먹던 안동 고유의 전통음식”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