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시신인계’ 여전히 우왕좌왕…유족 분통
수정 2014-04-22 09:59
입력 2014-04-22 00:00
“이 시각에 가족관계증명서를 어디서 떼 오라고…”
유족에게 시신을 인계하는 절차를 두고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유족에게 시신 인계하는 절차를 간소화해 ‘조건부 인도’하기로 했으나, 절차가 제대로 공지되지 않는 등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
24
-
세월호 침몰 당시 승객들의 탈출을 돕다가 숨진 승무원 故 박지영(22·여)씨의 시신이 22일 오전 인천시 중구 인하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운구되고 있다.
연합뉴스 -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한 지 7일째인 22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팽목항에서 한 실종자 가족이 스님이 기도를 하는 도중 바다를 바라보다 눈물을 훔치고 있다.
연합뉴스 -
세월호 침몰 사고 실종자 가족들이 21일 오후 세월호 사고 해역을 살펴본 뒤 전남 진도군 팽목항을 통해 들어오고 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119 구조대원들이 세월호 희생자의 시신을 운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119 구조대원과 경찰이 세월호 희생자의 시신앞에서 경례와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팽목항에서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이 침몰현장 수색작업을 지켜보기 위해 경찰 경비정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팽목항에서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이 침몰현장 수색작업을 지켜보기 위해 경찰 경비정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해군 해난구조대(SSU)와 특수전전단(UDT/SEAL) 소속의 잠수사를 포함한 민관군 잠수사들이 지난 20일 야간부터 21일 새벽까지 실종자 수색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진도실내체육관에서 세월호 실종자 가족 대표가 수색 상황을 브리핑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여객선 ’세월호’에 대한 수색작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가족들 대표가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실내체육관에서 수색 상황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인터넷포털 다음 아고라에는 ’세월호 승무원 박지영양을 의사자로, 국립묘지에 모십시다’라는 제목의 청원 글이 올라와 있다. 오후 3시 현재 2만5천여명의 누리꾼이 지지 서명을 남긴 상태다. 사진은 청원 지지 글이 올라온 아고라 인터넷 페이지 모습.
연합뉴스 -
21일 오전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한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3km 앞 사고 해상에서 구조대원들이 사력을 다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날 오전 사고해역의 날씨는 맑았고 파고는 0.5m로 수색 구조작업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
연합뉴스 -
21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팽목항에서 천주교 수녀들이 실종자 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세월호 침몰 사고 엿새째인 21일 오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경찰 통제선 너머 방파제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
마르지 않는 눈물21일 전남 진도 팽목항에서 세월호 침몰사고 실종자 가족이 사고 해역 쪽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
21일 경기 안산시 상록구 제일장례식장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로 숨진 단원고 박모양의 발인이 엄수된 가운데 박양의 어머니가 오열하고 있다.
-
세월호 침몰 엿새째인 21일 희생된 학생들을 추모하기 위해 경기 안산 단원고등학교 정문에 모인 시민들이 끝내 울음을 참지 못하고 오열하고 있다.
-
영원한 선생님 보내며…세월호 침몰 당시 구조됐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기 안산 단원고 강모 교감의 발인이 엄수된 21일 안산 상록구 제일장례식장에서 유족과 동료 등 50여명이 비통한 표정으로 강 교감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고 있다.
-
“엄마 울지마… 꼭 살아 돌아올 거야”가족들의 생환 소식을 애타게 기다리던 실종자 가족들의 슬픔이 갈수록 더욱 커지고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 엿새째인 21일 전남 진도군 진도실내체육관에서 실종자 가족이 서로 부둥켜안은 채 슬픔을 삼키고 있다.
-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엿새째인 21일 오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한 실종자 가족이 사고해상을 향해 앉아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
여객선 침몰사고 닷새째인 20일 오전 전남 진도실내체육관에서 한 실종자 가족이 엎드려 기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일 새벽 한 실종자 가족이 정홍원 국무총리가 탄 차를 막아서며 항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일 새벽 실종자 가족들이 정부의 대처를 믿지 못하겠다며 청와대를 항의 방문하려다 저지당한 가운데 현장을 찾은 정홍원 국무총리가 가족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전남 진도군 실내체육관에 머물던 실종자 가족들이 정부의 대처를 믿지 못하겠다며 20일 오전 청와대를 항의 방문하려다가 이를 저지하는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원확인을 위한 DNA 검사 때문에 시신이 유족에게 늦게 인계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시신 인계 절차를 간소화하겠다고 밝혔다.
DNA 검사 확인서가 나오기 전이라도 가족 희망에 따라 다른 병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했다는 게 대책본부 측 설명이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도 ‘일단 먼저 시신을 인계하되 장례 절차는 DNA 최종 확인 후에 하는 것으로 유족에게 양해를 구하는 조건부 인도’라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는 그러나 시신 인계 과정에서 유족에게 절차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혼란스러운 모습이었다.
22일 새벽 목포 기독병원으로 옮겨진 시신을 놓고 유족들에게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하다”는 말까지 나와 유족들이 크게 반발했다.
한 유족은 “이 시간에 가족관계증명서를 어디에서 떼어 오느냐”며 항의했다.
유족 중 일부는 “병원 엘리베이터에 시신을 놓고 주변에 아무도 없었다”며 “엿새 동안 실종 상태였는데 또 시신을 잃어버릴 뻔했다”며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흥분한 일부 유족과 수사당국 관계자 사이에 심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신원을 잘못 확인해 시신이 안산에서 목포로 되돌아온 사례가 발생한 가운데 유사 사고를 막고자 DNA 검사 절차는 강화됐으나, 시신을 하루빨리 인계하려는 유족을 이해시키려는 노력은 여전히 부족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