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에서 추웠을까봐 옷도 준비했건만… 딸 몰라볼까 겁나요”
수정 2014-04-22 03:20
입력 2014-04-22 00:00
시신 다수 수습 소식에 무너져 내리는 가족들… 팽목항 24시
“저는 아직 희망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젠 포기하는 사람들도 생겨나네요.”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A씨 가족은 충격에 빠졌지만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있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여동생을 포함한 실종 학생 4명이 외부와 통화했다는 얘기들이 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거론된 4명의 이름이 실제로 여동생과 친한 여학생들의 이름이라 사실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누군가 거짓으로 쓴 글로 드러났다. 이후에도 당국의 오락가락하는 발표와 정확하지 않은 언론 보도가 A씨 가족을 괴롭혔다. A씨는 “어머니가 마음만 심란해진다며 더는 뉴스도 보지 않고 숙소에만 힘없이 앉아 계신다”며 고개를 떨궜다.
실종자 가족들이 하나둘 무너져 내리고 있다. 사건 발생 초기만 해도 세월호 어딘가에 분명 아들, 딸들이 살아 있을 것이라 믿었지만 발견된 사망자가 50명을 훌쩍 넘도록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진도실내체육관에서 6일째 생활 중인 실종자 어머니 B(44)씨는 이젠 딸의 시신만이라도 온전히 돌아오기를 바란다. B씨는 “물에서 나온 딸이 추울까 봐 여분의 옷을 준비했지만 구조되지 못했다”면서 “이제는 딸의 시신을 봐도 얼굴을 알아보지 못할까 봐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B씨는 이어 “지금도 남편은 팽목항에 가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시신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어둠이 찾아올 무렵 팽목함의 침통함은 깊어져 갔다. 오후 7시쯤 시신 19구가 수습됐다는 소식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 순간 수십명의 실종자 가족들이 대책본부로 모여들었고 사망자 신원 확인과 인상착의 설명에 모두가 숨죽이고 촉각을 곤두세웠다. “눈 밑에 점이 있다”는 해경 관계자의 말이 들리던 찰나, 한 50대 여성은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 그리고는 “아이고 우리 XX야”를 부르짖었다.
실종자 가족들은 점점 절망하고 있지만 자원봉사 단체들은 다시금 힘을 불어넣고자 애쓰고 있다. 대한약사회의 김성진(42) 약사는 “최근 팽목항 인근의 온도 차가 심해 감기의 우려가 있어 약을 더 많이 준비하고 있다”면서 “진도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돼 실종자 가족들이 자주 찾는 청심환이나 소화제는 부족하지 않을 것 같아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전력 관계자도 “팽목항은 원래 전력이 단선으로 공급됐지만 이후 변압기 증설 공사로 전기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했다”고 말했다. 팽목항과 진도실내체육관을 찾는 자원봉사자 수도 사건 초부터 줄지 않고 꾸준히 이어지는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실종자 가족들이 가장 바라는 건 구조 작업이 신속히 마무리되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걸 입고 먹어도 구조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는 한 마음이 편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체육관 생활이 힘들지 않으냐’는 질문에 B씨는 “아니요. 너무 편해요. 우리 아이가 있을 차가운 물속에 비하면 너무 편한 것 같아요”라며 바다 쪽으로 눈길을 돌렸다.
진도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진도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4-04-2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