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폭설 뚫고 걷는 김정은… 뒤따르는 김여정
신성은 기자
수정 2021-01-13 11:51
입력 2021-01-13 11:51

조선중앙TV 화면
김 총비서가 맨 앞에서 폭설을 뚫고 걷는 가운데 뒤편으로 김여정 당 부부장(오른쪽)을 비롯해 간부들이 뛰다시피 뒤따르는 모습이 보인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10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제8차 당대회가 폐막한 지난 12일 김일성·김정일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당 제1부부장에서 부부장으로 강등된 김 총비서의 동생 김여정(하얀 원)이 네번째 줄에 서 있다. 2021.1.13
연합뉴스 -
조선중앙TV는 12일 김정은 당 총비서와 8차 당대회에서 새로 선출된 당 중앙지도기관 간부들이 평양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참배했다고 13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은 당 총비서의 여동생인 김여정이 참배하는 모습. 김여정은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 당 제1부부장에서 부부장으로 직책이 강등됐지만, 주요 간부들이 참석한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서는 김성남 국제부장(앞줄 맨 왼쪽) 옆에 서서 여전한 위상을 드러냈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조선중앙TV는 12일 김정은 당 총비서와 8차 당대회에서 새로 선출된 당 중앙지도기관 간부들이 평양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참배했다고 13일 보도했다. 김 총비서가 맨 앞에서 폭설을 뚫고 걷는 가운데 뒤편으로 김여정 당 부부장(오른쪽)을 비롯해 간부들이 뛰다시피 뒤따르는 모습이 보인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동생인 김여정이 당 제1부부장에서 부부장으로 강등된 이후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서도 뒤로 밀려난 모습을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1일 참배에서는 김 총비서의 바로 뒷줄에 서 있었으나(아래 사진 하얀 원), 8차 당대회가 폐막한 지난 12일에는 넷째줄 왼쪽 끝에 위치했다(위 사진 하얀 원). 2021.1.13
연합뉴스 -
북한 조선중앙TV는 지난 12일 평양에서 노동당 제8차 대회가 폐막했다고 13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가 이번 당대회에서 고령으로 당 정치국 상무위원과 정치국 위원 자리에서 물러난 박봉주의 귓속말을 들으며 웃고 있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북한 조선중앙TV는 지난 12일 평양에서 노동당 제8차 대회가 폐막했다고 13일 보도했다. 최룡해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당대회장에서 김정은 당 총비서와 악수하며 90도로 인사를 하고 있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북한 조선중앙TV는 지난 12일 평양에서 노동당 제8차 대회가 폐막했다고 13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가 리병철 당 비서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2021.1.13
조선중앙TV 화면 -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13일 8차 당대회를 마무리하며 군사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다시 드러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전날 김정은 총비서가 결론에서 “핵전쟁 억제력을 보다 강화하면서 최강의 군사력을 키우는데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지난 5일 개회한 당대회는 12일까지 총 8일간의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2021.1.13
연합뉴스 -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13일 8차 당대회를 마무리하며 군사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다시 드러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전날 김정은 총비서가 결론에서 “핵전쟁 억제력을 보다 강화하면서 최강의 군사력을 키우는데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지난 5일 개회한 당대회는 12일까지 총 8일간의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2021.1.13
연합뉴스 -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13일 8차 당대회를 마무리하며 군사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다시 드러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전날 김정은 총비서가 결론에서 “핵전쟁 억제력을 보다 강화하면서 최강의 군사력을 키우는데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지난 5일 개회한 당대회는 12일까지 총 8일간의 일정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2021.1.13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