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태평양전쟁 희생 한국인 유해 발굴 사실상 거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0-27 04:05
입력 2014-10-27 00:00

‘발굴 사업 참여’ 유족 요청 거절… 미발굴 유해 규모도 파악 안돼

일본이 태평양전쟁 사망자 유해 발굴 사업에서 조선인 전사자 유족의 참여 요청을 거절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태평양전쟁 당시 징병·징용돼 목숨을 잃은 조선인 유골과 관련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던 일본 정부가 사실상 발굴할 의지가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아베, 日 항공자위대 열병
아베, 日 항공자위대 열병 아베 신조(가운데) 일본 총리가 26일 이바라키현 오미타마의 햐쿠리 기지에서 항공자위대를 열병하고 있다. 이 행사에는 80대의 항공기, 25대의 차량, 740명의 병력이 참여했다. 일본은 최근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합동훈련을 하고 에볼라가 확산된 서아프리카에 자위대 파견을 검토하는 등 국제 군사활동의 폭을 넓히고 있다.
오미타마 AFP 연합뉴스
26일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보추협)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지난 8월 “(일본 정부의) 발굴 과정에서 한반도 출신이 확인되면 외무성을 통해 한국 정부와 협의하도록 하고 있으니 외국인은 해당 정부가 실시하는 유골 발굴·귀환 사업에 참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지난 6월 보추협과 일본 시민단체들은 후생노동성 관계자와 면담하고 유해발굴 사업에 한국 유족을 정식 참여시키고 발굴된 유해의 DNA 검사를 시행해 신원을 파악한 뒤 유골을 보존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유품 등 자료를 통해 유족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 DNA 감정을 한국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이희자 보추협 대표는 “신원 확인을 위해 DNA 감정을 요구한 것인데 전제 조건으로 유족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부터 내놓으란 것은 앞뒤가 바뀐 것”이라고 비판했다.

태평양전쟁 당시 조선인 전사자는 2만 2000여명으로 추정된다. 아직 발굴되지 않은 유해는 규모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4-10-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