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사령부는 31일 경북 포항 일대에서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지난 27일부터 실시 중인 ‘쌍용훈련’ 현장 모습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 갑판에는 미 제3해병기동여단 대원들을 육지로 수송할 대형 헬기들이 병력을 수송하고 있다. 연합뉴스
1/15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쌍룡훈련 도중 해안에 상륙한 미군 병사들이 전방을 경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쌍룡훈련 도중 상륙함(LST)이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참가한 가운데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된 쌍룡훈련 도중 상륙함(LST)이 연막을 터트리며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에는 미 제 3해병대 원정군 쓰리맵 사령관(가운데)과 케네디 제3기동여단장(오른쪽 두번째), 조광래 한국 해병대 전력기획실장 등이 내외신 기자브리핑을 마친 후 한.미 동맹을 위해 파이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 갑판에는 미 제3해병기동여단 대원들을 육지로 수송할 오스프리(MV-22)가 이.착함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 갑판에는 미 제3해병기동여단 대원들을 육지로 수송할 대형 헬기들이 병력을 수송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에는 미 제 3해병대 원정군 쓰리맵 사령관(가운데)과 케네디 제3기동여단장(오른쪽 두번째), 조광래 한국 해병대 전력기획실장 등이 내외신 기자들에게 훈련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한·미 해병대 2014쌍용훈련이 31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가운데 미 제3해병기동여단 병력과 미 해병 수직이착륙기인 오스프리 MV-22 등을 탑재한 USS강습상륙함인 본험 리처드함이 포항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참가한 가운데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된 쌍룡훈련 도중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쌍룡훈련 도중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참가한 가운데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된 쌍룡훈련 도중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연막을 터트리며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경북 포항시 송라면 해안에서 실시된 쌍룡훈련에 참가해 경계태세를 취하고 있는 해병대원 뒤쪽에서 시민단체 회원들이 훈련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쌍룡훈련 도중 해안에 상륙한 해병대원들이 적진을 향해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쌍룡훈련 도중 해안에 상륙한 해병대가 전방을 경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31일 한·미 해병대와 해군이 참가한 가운데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된 쌍룡훈련 도중 상륙함(LST)이 연막을 터트리며 해안으로 돌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연합상륙훈련은 1993년 팀스피리트 훈련 이후 21년 만에 최대 규모로 다음달 7일까지 진행된다. 한국 해병대 2000여명, 해군 1000여명과 미국 해병대 7500여명, 해군 2000여명 등 총 1만 2500여명이 올해 훈련에 참가하고 있다. 함정 11척과 55대의 항공기도 동원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