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군포도 동참… 서울~경기 출퇴근족 불편 줄인다

서유미 기자
수정 2024-02-01 01:20
입력 2024-02-01 01:20
인천·김포 이어 세 번째 업무협약
서울 ‘교통 혁신 카드’ 영역 확대
안양·과천에서 사용 못 해 걸림돌
내주 또 다른 지자체 참여 가능성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과 하은호 군포시장은 31일 서울시청에서 만나 서울시·군포시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교통 협력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오 시장은 “동일한 생활권을 공유하는 군포시까지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한다면 더 많은 시민의 교통비 부담이 줄고 승용차 이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해 기후 위기에도 대응할 것”이라며 “서울로 출퇴근, 등하교하며 생활하는 수도권 시민도 서울시민이라는 철학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하 시장은 “군포시의 하루 평균 대중교통 통행량 14만 9000건 가운데 서울과 군포를 오가는 경우는 22%인 3만 2000여명”이라며 “군포 시민들이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경기도 더 경기패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협약에 따라 두 시는 군포의 지하철 1·4호선 7개 역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코레일과 협의할 예정이다. 군포시를 통과하는 서울시 시내버스 6개 노선은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광역버스까지 서비스 범위에 포함될지는 추후 검토한다. 다만 군포시와 서울시 사이에 위치한 안양시와 과천시는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없어 활용에 걸림돌로 지적된다.
기후동행카드 시범 사업 이후 서울 지역으로만 국한돼 불편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참여 지자체 확대가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 도민과 경기도로 출퇴근하는 서울시민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수도권의 여러 지자체와 기후동행카드 참여 관련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다. 오 시장은 “다음 주쯤 한 곳과 더 협약식이 열릴 수 있다”고 했다. 앞서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에 경기도의 동참을 요청했지만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경기도는 국토교통부의 K 패스를 기반으로 더 경기패스를 준비하고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지난 23일 판매가 개시된 이후 26만장이 팔렸다. 기후동행카드는 한 달 6만 5000원에 서울시내버스, 지하철과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서유미 기자
2024-02-0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