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로 첫 출근길 동행한 오세훈… “4월부턴 신용카드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수정 2024-01-30 02:40
입력 2024-01-30 02:40

2호선 시청역서 직접 카드 구입
버스·지하철 환승하며 불편점검
“후불제 도입·경기도 등 호환 추진
수도권 시민 불편 없게 노력할것”

이미지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이 29일 서울지하철 시청역에서 기후동행카드 사용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카드를 구입한 뒤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29일 서울지하철 시청역에서 기후동행카드 사용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카드를 구입한 뒤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서울시내 대중교통과 자전거 따릉이를 6만원대 비용으로 한 달 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시행 후 출근 첫 날인 29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르면 4월부터 신용카드 충전이 가능해 질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에 경기도 지역이 제외된 것과 관련해서도 “최대한 빠른 속도로 경기도의 지자체들과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지하철 2호선 시청역에서 기후동행카드를 구입해 충정로역에서 버스로 환승해 서울시청으로 돌아오면서 불편 사항 등을 직접 점검했다.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충전 시)꼭 현금을 써야 하는 불편해결을 요청하는 시민들이 많아 서두르면 4월 정도에는 신용카드 충전이 가능할 것 같다”면서 “아울러 신용카드 후불제 시스템 도입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기후동행카드는 현금으로만 구입과 충전이 가능하다. 지하철역사 등에서 3000원의 실물카드를 별도로 구입하거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 받아 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이날 시청역에서 공공자전거인 따릉이 이용권이 포함된 6만 5000원권(따릉이 제외 6만 2000원)을 실물카드와 함께 구입해 사용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주말인 지난 27일부터 시행됐지만 시행 이후 첫 출근일인 이날이 본격적으로 기후동행카드가 사용된 첫 날이었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 하는 시민들은 서울에 한정된 기후동행카드의 지역 범위에 아쉬움을 표했다. 경기 광명시에서 강남으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 김상호(50)씨는 “업무상 서울에서도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데 정작 출퇴근길에는 사용이 어려워 아쉽다”고 했다. 오 시장은 “경기도의 지자체들과 협의를 통해 서울로 출퇴근 하는 수도권 시민 한 분이라도 더 불편 없이 쓰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김포·인천시와 협의를 통해 올 상반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이들 지자체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이후 경기도 타 지자체들과 협의를 지속해 사용 가능 지역을 꾸준히 확대한다는 목표다.

기후동행카드는 시행첫날인 27일부터 28일 오후 5시까지 일 평균 7만여명이 사용하고 버스와 지하철 이용 건수는 총 34만건(버스 19만 7000여건, 지하철 14만 9000여건), 판매는 모바일 7만 6000장, 실물카드 12만 4000여장이 팔렸다.

박재홍 기자
2024-01-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