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의 위협 느꼈다” 들개 무리에 인천 주민들 불안

신진호 기자
수정 2023-08-03 15:59
입력 2023-08-03 11:05
“들개 무리 3마리가 도망가도 계속 쫓아와 목숨의 위협을 느꼈습니다. 너무 두려워서 전기충격기와 호신용 스프레이까지 구입했습니다. 동네 산책하는데 호신용품까지 들고 산책해야 할까요?”
인천 서구 주민

온라인 커뮤니티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24일까지 인천에서 포획한 들개는 모두 135마리로 집계됐다.
특히 서구에서 절반이 넘는 72마리(53%)가 포획됐는데, 이 중 56마리는 검단신도시에서 잡혔다.
떼지어 몰려다니는 들개 무리를 보거나 들개 무리에게 쫓기는 경험을 한 주민들은 개 물림 사고를 당할까 봐 불안에 떨고 있다.
서구청 열린구청장실 게시판에는 몇년 전부터 꾸준히 들개 관련 민원글이 올라오고 있다.
주민 A씨는 “크기도 크고 한 마리도 아니어서 성인인 저도 위협적으로 느껴진다”고 우려했고, 다른 주민들도 “하루종일 들개들이 서로 다투며 짖는 소리가 들린다. 산책 중에 반려견이 습격받을까봐 걱정되고, 노인에게 접근하는 들개를 목격한 적도 있다” 등을 호소하며 포획을 요청했다.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목격담과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남산리에서 제법 큰 개 7마리 정도가 몰려다니는 것을 봤다”고 전했고, 다른 누리꾼은 “무당골 옆 공원에서 강아지랑 산책하러 갔다가 2번 정도 목숨 걸고 뛰었다”고 적었다.

인천 서구청 홈페이지 게시판
서구는 검단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지속해서 유입되는 지역인데, 들개의 기존 활동 범위가 주거 생활권과 겹치면서 꾸준히 민원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서구는 앞으로 검단 내 행정복지센터에 포획용 틀을 지원해 민원 대응 시간을 최소화하고 민간 포획단을 구성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구 관계자는 “들개로 인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50마리 정도가 관내에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주민 안전을 위해 들개 포획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인천 서구청 홈페이지 게시판
들개 포획은 2018년 ‘인천대공원 들개 사건’ 이후에 본격화됐다. 당시 인천대공원에서 3~4마리의 들개가 몰려다니며 반려견을 10여 차례 공격하는 일이 벌어졌고, 1년 뒤인 2019년에는 반려견의 보호자까지 공격해 부상을 입혔다.
그러나 들개의 출몰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인천시는 버려진 개들이 야생화한 이후 자체 번식으로 개체 수가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여전히 유기견 또는 유실견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서구 외에 강화군에서 포획된 들개 개체 수도 40마리에 달해 인천에서는 서구에 이어 2번째로 많았다.
강화군의 경우 들개가 농장 내 가축을 물어 죽이거나 농작물을 훼손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 관계자는 “들개는 대부분 유기됐거나 유실된 이후 야생화한 반려견들”이라며 “반려견의 중성화율을 높이고 동물등록을 통해서 유기·유실을 막아야 들개 개체 수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