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여명 피해 ‘여수 이야포’ 비극 아시나요

최종필 기자
수정 2022-08-05 03:57
입력 2022-08-04 17:58
미군기, 제주 향하던 피란선 폭격
두룩여 해상 어선 100여척도 피해
진실화해위 ‘진실규명’ 필요 결정

여수시 제공
이야포 사건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8월 3일 여수시 남면 안도 이야포 해상에서 제주도로 향하던 피란선을 미군 폭격기가 기총 사격해 승선자 250명 중 다수가 사망하거나 다친 대규모 ‘민간인 집단 학살사건’이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기록에 따르면 피란선이 부산에서 출발해 통영과 욕지도를 거쳐 이야포 포구에 도착한 다음날인 3일 아침 미군 폭격기 4대가 나타나 무차별 사격을 가해 150여명이 사망하고 50여명이 부상했다. 총에 맞아 사망한 시신이 산더미처럼 배에 쌓였다. 시신에 기름을 부어 3일 밤낮으로 태운 후 바다에 수장시켰고, 일부 시신은 산에 매장됐다고 기록은 전한다.
미군은 그해 8월 9일에도 남면 횡간도 앞바다 두룩여 해상에서 조기잡이를 하던 어선 100여척을 폭격했다. 수십 명이 또 죽고 다쳤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두 사건을 ‘진실규명’이 필요한 사건으로 결정했다. 위원회는 2010년 미군의 폭격이 불법이었다는 점을 밝혀냈지만 작은 섬이 공격받은 이유와 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하지 못했다. 생존자 대부분이 사망한 데다 자료가 적고 공소시효가 지나 배상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여수 지역사회는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야포 미군폭격사건 특별법을 제정하고 역사적 진실을 세상에 알려 미군의 공식적인 사과를 받아 내겠다는 것이다. 지난 3일 이야포 평화공원에서는 ‘이야포 미군폭격사건 72주년 민간인 희생자 추모제’가 열렸다. 그동안 민간단체 주도로 개최되던 추모제가 올해 처음으로 여수시 예산이 투입된 민관추모제로 치러졌다. 정기명 여수시장은 “이야포 미군폭격사건은 현대사의 비극”이라면서 “진실규명과 희생자의 명예회복을 위해 힘을 모아 나가자”고 강조했다.
여수 최종필 기자
2022-08-0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