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영역 작년보다 어려워…6월·9월 모의 수준”
수정 2016-11-17 11:25
입력 2016-11-17 11:10
1교시 영역 난이도 평가…“학생들 보기에 상당히 어려웠을 듯”
/
9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전국 85개 시험지구 1,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열린 17일 오전 서울 이화외고(제15시험지구 제19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감독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고사장에서 한 수험생이 기도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2017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7일 오전 8시 40분부터 오후 5시 40분까지며, 전국 85개 시험지구와 1183개 고사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이날 서울 중구 이화여고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이날 수능은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2만5천200명이 감소한 60만5천987명이 응시했다.
연합뉴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성고등학교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오전 경북 경주시 동천동 경주교육지원청 수능지진대책본부에서 관계자들이 지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이날 수능은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2만5천200명이 감소한 60만5천987명이 응시했다.
연합뉴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이날 수능은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183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2만5천200명이 감소한 60만5천987명이 응시했다.
연합뉴스
국어영역은 지난해 수능까지 A형, B형으로 나뉜 수준별 시험으로 치러졌으나 올해부터 통합형으로 전환되면서 6월과 9월 두 차례 모의평가에서 작년 수능보다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올해 본 수능에서도 국어영역은 이런 기조가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김용진 동대부속여고 교사는 이날 1교시 시험이 끝난 뒤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국어영역은 작년 수능보다는 조금 어렵고, 6월과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난이도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김 교사는 “지문의 갯수가 작년보다 줄어든 대신 지문 길이가 늘어나고 지문당 문항 수가 늘어났다”며 “학생들이 보기에는 상당히 어려웠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수능은 전반적으로 어려워 변별력 확보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특히 올해 6월과 9월 모의평가는 국어가 상당히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수능 출제위원장을 맡은 정진갑 계명대 교수는 이날 브리핑에서 전반적인 출제 경향에 대해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 맞춰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 중심으로 출제해 고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고 밝혔다.
정 출제위원장은 특히 “적정 난이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6월과 9월 모의평가 난이도와 유사하게 출제했다”며 “오류 없는 문항과 난이도 분포에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수능 출제 문항과 EBS 교재의 연계율은 국어 71.1%, 수학 가형과 나형 70%, 영어 73.3%, 한국사 70%, 사회탐구 70.6%, 과학탐구 70%, 직업탐구 70%, 제2외국어·한문 70%로 맞춰졌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교육부는 사교육비 경감 방안의 하나로 EBS 교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수능과 EBS 교재와의 연계율을 70% 정도로 높게 유지하는 정책을 이어오고 있다.
전국 85개 시험지구, 1천183개 시험장에서 실시된 이번 수능에는 총 60만5천987명이 지원했으며 이중 재학생은 45만9천342명, 졸업생 등은 14만6천645명이다.
영역별로는 국어 60만4천78명, 수학 56만9천807명(가형 19만312명, 나형 37만9천495명), 영어 59만9천169명 등이었으며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에는 60만5천987명의 수험생 전원이 지원했다.
시험은 1교시 국어영역에 이어 2교시 수학, 3교시 영어, 4교시 한국사·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으로 오후 5시40분까지 진행된다.
평가원은 수능 시험이 끝난 직후부터 21일 오후 6시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문항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뒤 28일 최종 정답을 발표한다.
성적 통지표는 다음달 7일 수험생에게 통보되며 성적표에는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된다.
한국사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표기된다. 한국사에 응시하지 않은 수험생에게는 성적표가 아예 제공되지 않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