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덕 밑 정동길엔 역사가 숨어 있었네

이재연 기자
수정 2016-07-04 09:11
입력 2016-07-03 22:22
‘서울 미래유산 역사 탐방’ 첫 날
시민 30여명·해설자 등 3시간 열기
본지·市 주관… 12월까지 20회 진행
“경운궁(덕수궁) 선원전 터는 고종 사후 강제로 민간에 매각돼 그동안 절 포교원, 어학원, 학교로 흔적을 잃고 전전했습니다. 지금은 미국 대사관저 부지로 남아 문화재청이 복원 공사를 추진 중인데, 지표조사로도 옛 흔적을 찾기 어려운 지경이니 안타깝기 짝이 없지요”

길상사, 문익환 가옥, 삼청각, 서울광장 등 역사와 이야기를 담은 근현대 서울미래유산이 372곳이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서울신문과 서울시가 마련한 ‘서울 미래유산 역사탐방’ 첫날 행사는 궂은 날씨에도 근현대 서울의 자취를 더듬으려는 시민들로 열기가 후끈했다.
이날 코스는 근대 외교의 중심가였던 정동.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시작해 성공회성당, 영국대사관, 경운궁 골목, 미 대사관저, 경운궁 중명전으로 이어진 답사는 러시아공사관, 정동극장, 한성교회를 돌아 배재학당, 서울시립미술관까지 이어졌다.
서울 중구 정동은 일제와 서구 열강의 다툼 속에 주권을 잃고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 외교사의 비운이 담긴 뒤안길이었다. 정부 차원의 사적지 복원이 뒤늦게 시도되고 있지만, 미국·영국·러시아 대사관저에 가로막힌 신세는 현재진행형이다. 이 해설사는 “옛 모습만 똑같이 재현하는 건 ‘미니어처 복원’에 지나지 않는다”며 “당시 유물과 시대상·정신이 오롯이 반영돼야 현재를 사는 시민들의 삶과 연결되는 진정한 복원”이라고 강조했다.
3시간 탐방을 마친 뒤 직장인 전수정(여·35)씨는 “그동안 서울의 건축행정은 부수고 새로 짓는 게 전부처럼 느꼈다”면서 “덕수궁 돌담, 창의여중 안 도성 흔적처럼 우리 곁의 역사를 우리가 나서서 보존해야 할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동 일대에서 학교에 다녔다는 50대 부부는 “학창 시절을 떠올리는 시간여행도 되고, 잊혔던 역사도 되새겨보고 한마디로 골목의 발견”이라며 흡족해했다. 미래유산 탐방은 오는 12월 3일 ‘염리동 소금길’까지 20회 진행된다. 신청은 서울미래유산탐방 홈페이지(http://seouldaily.webmaker21.kr)로 하면 된다.
글 사진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6-07-0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