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태화강서 처음 발견된 싱싱 자연 굴

박정훈 기자
수정 2016-01-08 00:49
입력 2016-01-07 21:22
수질 개선으로 집단 서식 가능해져

동해안인 울산은 2012년 울주군 온산읍 회야강 하구 바닥에서 강굴이 일부 서식한 것으로 확인했지만, 태화강 수계에서 집단 서식지를 찾은 것은 처음이다.
태화강 하구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 굴 서식 환경을 가졌다. 이번에 발견한 굴은 강굴과 참굴 등이다. 강굴은 태화강 하구와 명촌천이 만나는 지점의 강바닥 일대(길이 70여m, 폭 20여m)에서 담치, 따개비 등과 엉켜 서식한다. 참굴 서식지는 같은 지점 강 양쪽 석축과 교각 등 길이 100여m 구간에 넓게 퍼진 것으로 확인했다.
태화강 하구에서는 1970년대 산업화 이후 수질오염 등으로 바윗돌이나 목책 등에 달라붙은 굴들이 폐사해 굴 껍데기만 발견됐다. 그러나 최근 태화강 수질이 개선되면서 2∼3년 전부터 굴이 성장해 집단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굴은 수중 유기물을 걸러 먹고살아 수질오염에 민감하다.
강 대표는 “태화강 하구가 재첩, 바지락에 이어 굴까지 서식할 정도로 환경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글 사진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6-01-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