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듯한 월급으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는 직장인에게 이 둘 중 하나만 선택하라고 한다면 과연 얼마나 많은 이들이 보너스를 포기하고 동료와의 의리를 지킬 수 있을까.
벨기에 출신 거장 다르덴 형제 감독의 신작 ‘내일을 위한 시간’(two days, one night)은 자신의 복직을 위해 동료에게 보너스를 포기해 달라고 부탁해야 하는 한 여성의 주말을 담은 영화다.
이미지 확대
영화 ‘내일을 위한 시간’ 스틸컷 어디론가 바쁘게 걸어가는 ‘산드라’(마리옹 꼬띠아르) 네이버 영화
병가 중이던 산드라(마리옹 꼬띠아르 분)는 금요일 오후 동료들이 투표를 통해 자신의 복직 대신 1천 유로의 보너스를 택했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다행히 투표 과정에서 “산드라 대신 다른 사람이 해고될 수도 있다”는 반장의 협박이 있었던 사실이 드러나 월요일 아침 재투표의 기회가 주어진다.
실직의 위기에 좌절한 산드라는 남편의 격려에 힘을 얻어 주말 이틀 동안 16명의 동료를 일일이 찾아가 자신의 복직을 선택해달라고 요청하기로 한다.
어떤 동료는 “보너스를 택한 게 마음에 걸렸다”며 산드라를 응원하지만, 다른 동료는 “대학생 애한테 매달 600유로를 쓴다”며, “이혼하고 남친과 새출발해야 한다”며, “네 실직은 싫지만 보너스는 1년치 가스와 전기세”라며 보너스를 택할 수밖에 없는 각자의 사정을 설명한다. 한때 친했던 한 동료는 아예 만남을 피하고, 어떤 동료의 가족은 산드라 때문에 다툼도 생긴다.
산드라는 동료에게 동정을 요구하는 것 같아 비참하고, 뻔히 사정을 알면서도 이들을 괴롭히는 것 같아 수차례 포기하려고 하지만 그럴 때마다 자신을 응원하는 남편과 다른 동료에 힘입어 다시 힘겹게 용기를 낸다.
영화의 구조는 지극히 단순하다. 산드라가 ‘두 번의 낮과 한 번의 밤’ 동안 동료를 한 명씩 차례로 만나 같은 사정을 반복해 설명하며 월요일 재투표에서 자신의 복직을 선택해달라고 얘기하는 식이다.
하지만 ‘로제타’(1999)와 ‘더 차일드’(2005)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한 다르덴 형제는 이 단순한 구조를 전혀 지루하지 않게 풀어냈다. 영화는 잔잔하게 흘러가지만 저마다 사정이 있는 동료의 얘기를 절묘하게 배치해 끝까지 미묘한 긴장감을 놓치지 않는다.
다르덴 형제는 지난 5월 칸영화제에서 한 인터뷰에서 “자식이 좋은 학교에 들어가서 친구보다 더 잘 사는 것이나 성공하는 것보다 연대가 중요하다는 점을 영화에서 말하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다.
영화는 그렇다고 복직과 보너스에 대한 각자의 선택을 비판하지도 않는다.
마지막 순간 오히려 선택의 기로에 놓인 산드라의 결정과 “우리 잘 싸웠지? 난 행복해”라며 환하게 웃는 모습을 통해 ‘미생’(未生: 삶과 죽음이 결정되지 않은 바둑돌)에 불과한 직장인에게 따뜻한 위로를 건네며 희망을 전한다.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라 비앙 로즈’(2007)를 비롯해 ‘미드나잇 인 파리’(2011)·’러스트 앤 본’(2012) 등으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프랑스 여배우 마리옹 꼬띠아르는 화장기 하나 없는 민낯으로 평범한 산드라의 복잡한 심경을 오롯이 표현해 몰입도를 높인다.
2015년 1월1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95분.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