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도… 광나는 기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0-17 02:53
입력 2014-10-17 00:00

관악 구두수선자들 사랑의 수선대 운영

어렵게 지내는 이웃 돕기 1억 1426만원. 수십억 자산가나 대기업이 내놓은 게 아니다. 대개 ‘구두닦이’라 낮춰 부르는 구두수선대 운영자들이 25년간 기부한 돈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 15일 강규홍(오른쪽) 관악녹지회 회장과 부인 김성자씨가 구두닦이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관악구 제공
지난 15일 강규홍(오른쪽) 관악녹지회 회장과 부인 김성자씨가 구두닦이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관악구 제공
관악녹지회는 지난 15일 ‘사랑의 구두닦이 행사’를 가졌다. 관악녹지회는 관악구의 구두수선대 33곳의 운영자들의 모임이다. 강규홍 회장은 “1990년 우리도 만나서 술만 마시지 말고 좋은 일을 해보자는 뜻으로 모임을 만들게 됐다”면서 “못 배우고, 가난하지만 남을 도울 수 있다는 게 좋아 25년째 행사를 계속하고 있다”며 활짝 웃었다.

 오래 남을 돕다 보니 기억에 남는 봉사도 수두룩하다. 강 회장은 “1992년 간경화로 쓰러졌다는 서울대생 이야기를 듣고 이틀 동안 치료비 마련을 위한 구두닦이 행사를 펼쳤다”면서 “결국 하늘나라로 떠나 안타까웠지만 아직도 그 학생의 어머니가 가끔 가게를 방문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좋은 마음으로 봉사를 하는 이들에게 최근 걱정이 생겼다. 봉사활동으로 버는 금액이 줄고 있어서다. 올해 모금액은 225만원. 지난해 210만원보다 15만원 늘었지만 예전 추세만 못하다. 강 회장은 “불경기 탓인지 구두를 닦는 사람이 줄었다”고 고개를 내저었다. 그러나 “그래도 행사의 취지가 좋다고 일부러 구두를 닦으러 오시는 분도 계시고, 이따금 구두 닦는 비용의 몇 배를 모금함에 넣는 손님도 나타난다”고 털어놨다. 하루에 보통 5만원, 운수 좋은 날이면 7만원 정도를 번다는 정 회장은 자기 벌이가 줄어드는 것보다 모금액 줄어드는 것을 더 걱정했다.

 봉사의 범위도 점점 넓어지고 있다. 2012년 6월부터는 구두수선대와 가로판매대 운영자가 손잡고 ‘다사랑 봉사단’을 꾸려 주민들에게 길 안내와 도로불편사항 모니터링, 빗물받이 책임관리 등 활동 폭을 더욱 넖히고 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10-1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