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인 서울] ‘시민의 발’ 꿈꾸는 공공자전거
수정 2014-07-09 00:50
입력 2014-07-09 00:00
내년 400대→3000대로 확충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공공자전거가 현재 400대에서 내년 3000대로 늘어난다. 정류장 어디에서도 대여와 반납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가수단을 뛰어넘어 출퇴근 교통수단으로 만들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자전거도로 확충, 많은 언덕 구간, 이용자 안전 문제 등 숙제도 숱하다.
내년부터 제대로(?) 운영되는 공공자전거의 특징은 집 근처에서 빌려 출근지에서 반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시는 무인대여소를 10여곳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의도와 상암동 대여소는 빌린 곳에서 반납해야 한다.
관광 교통수단으로도 육성된다. 종로나 광화문 등지에도 대여소를 설치해 내·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유롭게 고궁과 박물관들을 연계해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다만 정확한 대여소 위치는 올해 말까지 조사를 통해 확정하기로 했다.
시는 자전거의 내구성이나 훼손율에 대해서는 시범운영을 통해 충분히 검증됐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걸림돌도 있다. 출퇴근 수단으로 공공자전거를 이용할 경우 도로에 자전거가 늘면서 운전자의 불만을 키울 수 있다. 반대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우려도 따른다. 선진적 교통 문화를 만들려다가 교통지옥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대하는 게 대안이지만 지형상 언덕이 많은 점, 추위와 더위로 여름·겨울철 이용자가 감소하는 점 등이 문제다.
시 관계자는 “그럼에도 복잡한 서울의 상황을 감안할 때 차 중심의 도로에서 보행자 중심 도로로 서서히 바꿔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각 구청의 공공자전거, 민간기업들이 갖춘 직원 복지 자전거 등과 연계하면 서울시 교통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 사진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7-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