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 어르신들, 더위 잊고 한글공부 삼매경
수정 2014-06-27 00:07
입력 2014-06-27 00:00
문해교육장 3→11곳으로 늘려
충북 진천군이 한글을 모르는 까막눈 할아버지와 할머니들의 한글 공부 열기로 뜨겁다.
진천군 제공
마을별로 마련된 학습장에서는 현재 15명 안팎의 노인들이 구슬땀을 흘리며 한글을 배우고 있다. 60대 초반에서 90대까지 있다. 초평면 영주원마을에서 한글을 공부하는 93세 할머니가 최고령자다.
노인들은 문해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교사들의 지도로 1주일에 2번 학습장에 나와 2시간짜리 수업을 받는다. 학습장은 주로 경로당과 마을회관 등에 마련됐다. 수업은 방학 기간 2주일을 빼고 1년 내내 진행된다. 자원봉사로 노인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교통비, 교재비 등은 군이 지원한다.
군은 이 사업을 위해 한국문해교육협회와 공동으로 문해교육사 3급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된 문해교육사는 지난해 15명에서 올해 31명으로 늘어났다.
문해교육은 노인들에게 활력소가 된다. 문해교육사들은 한글 지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지원을 받아 와 노인들에게 서울 63빌딩 견학 등의 체험 기회도 주고 있다. 한 할머니는 “문해교육사들이 너무 정성껏 가르쳐 줘 우리가 열심히 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한글을 알아 가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말했다.
신순영(36·여) 문해교육사는 “수업을 하면서 정이 들다 보니 어르신들이 말 못할 애로 사항까지 털어놓으신다”면서 “1주일에 두 번씩은 꼭 보니까 이제는 친정부모님처럼 느껴져 최선을 다하게 된다”고 말했다.
군은 내년에 문해교육 학습장을 15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진천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4-06-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