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인·명물을 찾아서] 문경새재 아리랑은
수정 2013-12-09 00:00
입력 2013-12-09 00:00
서양악보로 바다 건너 소개된 우리 근대 아리랑의 효시라오
“문경새재 물박달나무/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간다/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중략)/문경새재 넘어를 갈제/ 굽이야 굽이야 눈물난다/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문경시 등은 문경새재아리랑이 우리나라 아리랑의 원조 격이지만 그동안 진면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데다 격(?)에 맞는 대접도 받지 못했다고 보고 있다.
시는 우선 문경읍 진안리 문경새재 입구 1만 3000여㎡ 터에 총 1200억원(국비 1100억원, 지방비 100억원)을 투입, ‘아리랑박물관’ 건립을 추진한다. 그 배경으로 아리랑 가사에 있는 아리랑 고개가 조선시대 500년간 한양과 영남을 잇는 가장 가까운 길인 문경새재로 추정되는 데다 서양 악보로 작곡돼 최초로 국외에 소개된 근대 아리랑의 원형이 문경새재아리랑이란 점을 강조한다. 진도아리랑의 첫 사설도 ‘문경아 새재야 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간다’고 부르는 점을 들어 문경새재아리랑이 타 지역 아리랑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지난 8월에는 문경읍 상초리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야외전시장에 ‘문경새재아리랑비’가 세워졌다. 구전으로 내려오던 우리나라 아리랑 가운데 유일하게 문경새재아리랑을 악보로 기록하고 해외에 최초로 알린 고종의 특사인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1863∼1949)박사를 기억하기 위해서였다. 지난 7월에는 250여명의 공연진이 서울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에서 국내외 관광객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연해 호응을 얻었다. 최근에는 남궁진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임돈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위원장, 탤런트 최불암씨 등으로 국립아리랑박물관 문경 건립 추진을 위한 포럼을 구성했다. 고윤환 문경시장은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대표 아리랑인 문경새재아리랑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작정”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문경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3-12-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