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25억 ‘도산전투도’ 구입 추진 논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05 00:04
입력 2013-12-05 00:00

“日 시각으로 그려 안돼” vs “역사·소장 가치 충분”

울산시가 정유재란(1597년) 당시 울산 학성의 전투장면을 그린 ‘도산전투도’를 25억원을 들여 구매를 추진하면서 논란을 빚고 있다. 이 그림은 일본인이 자국의 시각에서 그린 데다 모사본으로 울산박물관의 1년 유물 구입비의 두 배가 넘는 막대한 예산까지 투입될 예정이어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울산시 제공
울산시 제공
도산전투도는 정유재란 당시 도산성(현 울산 중구 학성공원)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과 왜군이 싸우는 장면을 일본인 오키(大木)가 1차 전투 참가자들에게서 듣고 그린 6폭짜리 병풍 3점이다. 첫 번째에는 조선·명나라 연합군이 도산성 왜군 진영을 진격하는 장면, 두 번째에는 연합군이 도산성을 포위하는 장면, 세 번째에는 연합군이 후퇴하는 장면을 각각 그렸다. 원본은 소실됐고 18세기 이후 제작된 모사본 3점 가운데 한 점이다. 일본인 사카모토 고로(板本五郞)가 소유하고 있고, 오는 22일까지 울산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울산박물관은 최근 내년 예산에 도산전투도 구매 예산을 편성해 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에 상정했다. 행자위는 5일 심의·계수조정을 거쳐 오는 13일 본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행자위 내부에서도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김정태 의원은 “명군 7만명과 조선군 2만 5000명의 조·명 연합군은 2차례에 걸쳐 도산성(왜군)을 공격했으나 모두 패해 일본 입장에서는 자랑이고, 우리 입장에서는 뼈아픈 전투”라며 “일본인이 자국의 시각에서 그린 그림을 막대한 예산을 들여 구매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허령 의원은 “박물관은 찬란했던 선조의 문화를 보고 배우는 곳이기도 하지만, 실패한 역사를 통해 교훈을 얻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면서 “아픈 역사를 교훈으로 삼고, 울산의 역사를 한번 더 돌아볼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우림 울산박물관장은 “도산전투도는 조선의 시각에서 그린 ‘평양성탈환도’, 명나라의 시각에서 그린 ‘정왜기공도병’과 함께 중요한 가치를 가져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전문가들도 소장 가치가 있다고 평가한 만큼 시의회를 통과하면 유물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구매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3-12-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