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시험 시장 “가채점하니 더 불안” 수시모집 몰려
수정 2013-11-10 15:25
입력 2013-11-10 00:00
/
5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1일 오후 서울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의 대학입시전략 설명회에서 행사장을 가득 메운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강사의 설명을 주의깊게 듣고 있다. 연합뉴스 -
11일 오후 서울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의 대학입시전략 설명회에서 학부모와 수험생들이 일제히 배치표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
11일 오후 서울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의 대학입시전략 설명회에서 행사장을 가득 메운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강사의 설명을 주의깊게 듣고 있다. 연합뉴스 -
11일 오후 서울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의 대학입시전략 설명회에서 학부모와 수험생들이 일제히 배치표를 펼치고 있다. 연합뉴스 -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 교내 도로가 2014학년도 수시모집 일반학생전형 논술시험을 치른 수험생과 학부모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성균관대의 논술고사 응시율은 올해 수능이 어려운 탓에 지난해보다 5% 포인트 상승한 65%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대학들이 오는 11일부터 수시 2차 원서모집을 시작하는 가운데 정시까지 기다리지 않고 수시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수험생이 늘어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10일 입시전문 업체들에 따르면 수능이 끝난 직후 학원에는 수시 대학별 논술고사에 응시해야 하는지, 수시 2차 원서접수를 해야 하는지에 묻는 수험생과 학부모의 문의가 쇄도했다.
입시업체들이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등급 커트라인과 주요 대학 합격점수 추정치를 내놓았지만,예년과 비교하기 어렵고 A/B형 유형별로 따져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기 어려워 정시까지 가기 불안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수능이 지난해보다 대체로 어렵게 출제됨에 따라 상당수 수험생이 시험을 잘못 봤다고 생각하는 것도 수시 안정지원을 고민하는 이유다.
김명찬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수준별 수능으로 정시가 더욱 예측 불가능해지면서 수시로 안전하게 가겠다는 수험생이 많다”면서 “예년보다 우수한 학생들이 수시에 많이 몰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성호 하늘교육 대표이사는 “수학과 영어 B형이 어렵게 출제돼 상위권에서도 시험을 못 봤다는 학생이 많다”면서 “상당수가 수능 후 치러지는 논술·구술면접을 보러 가거나 수시 2차에 새로 원서를 넣겠다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하위권은 A/B형 동시 반영 대학의 경우 영어 B형 5등급 이하가 A형 1등급보다 불리할 것으로 보여 B형 응시생을 중심으로 정시를 포기하고 수시로 반드시 가겠다는 학생이 많다”고 덧붙였다.
실제 서울 주요 대학의 수시 대학별 고사 응시율이 지난해보다 올랐다. 성균관대는 논술고사 응시율이 지난해 60%에서 올해 65%, 숭실대는 55%에서 70%로 상승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시험이 어렵고 전형이 복잡한 것은 수험생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사항”이라며 “불안감에 무턱대고 지원하기보다는 냉정하게 자신의 위치를 따져보고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